2022년 10월 12일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2.5%에서 3%로 0.5% 인상했습니다.
하지만 금리인상이 장난이 아니다 1870조원 가계부채가 막대한 대한민국에 이자부담은 늘어나고 집값은 떨어지고 있다.
기준금리 인상이 기정사실인 것도 당연하지만 주택 붐으로 늘어난 가계부채 이자 부담이 걱정되기 시작했다.
대출이자 비율로 계산하면 92조5000억원의 이자를 내야 한다.
4,314,365원. 대출이 없는 가구가 50%에 이르면 대출이 있는 가구의 이자부담은 2배가 된다.
소득 증가가 없는 상황에서 이자만 증가하면 소득에서 지출할 수 있는 금액인 가처분 소득이 줄어들고 경기 침체가 가속화됩니다.
월수입이 400만원이면 원리금으로 150만원을 갚아야 하는데 금리상승으로 인해 월 200만원의 원리금을 갚아야 할 때 최대 200만원까지 사용 가능합니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과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OECD에서 가장 빠르게 증가해 부채 증가율이 국민소득보다 가파르다.
더군다나 코로나19로 매출이 급감한 소상공인 채무자들은 채무상환과 이자상환을 유예했고 대출만기는 2022년 9월이다.
지연되지만 영원히 미루지는 않습니다.
동시에 경제 호황이 오지 않는 한 후불채무는 언제든 나타나겠지만 시간은 촉박해 보인다.
가계부채를 폭증시키던 부동산 시장도 금리 인상으로 가계 가처분 소득이 늘고 있을 뿐 아니라 자산가치도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충격은 생각보다 컸다.
자기자금 2억원, 대출 3억원으로 5억원짜리 집을 사서 4억원대로 오른다면? 집값이 2억원 떨어지면 어떻게 될까? 원금이 사라지고 대출금과 주택가격이 같아져 은행의 집이 됩니다.
모기지 위기 부동산 전문가들은 금리가 더 떨어질 것이라는 이유로 당분간 높은 금리가 계속될 것이라고 말한다.
2023년 초까지 또 다른 금리 인상이 예상되며, 인상 후 금리가 곧 하락할 가능성은 낮습니다.
하지만 집값이 더 떨어질 수 있는 현 상황에서 지연된 주택 구입은 거래절벽을 보였다.
집값이 떨어지면 최종 사용자는 집을 살 이유가 없습니다.
자제하고 노력을 강화해야 할 것 같습니다.
우리의 현금 노출은 바닥을 친 우량 자산을 매입하기 위한 준비입니다.
^^